16.09.24_1100고지

밤중 사진을 찍은지가 언젠지 가물가물 해져서 간단하게 장비를 챙겨서 야경이라도 찍어야지 하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사람의 심리라는게.. 기왕 나가는거 챙겨보자 해서 10인치 망원경을 제외한 나머지 풀 구성으로 집을 나섰다.

하늘 상태가 썩 좋은편은 아니었으나 구름 사이사이로 간단하게 찍을 대상 들이 있을거 같아 멀리 가지는 않고 만만한곳인 관음사를 가봤는데 여긴 요새 캠핑 성수기라 그런지 캠퍼들이 제법 된다. 인근 탐라교육원 주차장을 가니 건물에 조명이 들어와있고.. 한울누리공원 주차장을 갔는데 여긴 괜찮겠다 싶지만 오늘은 왠지 꺼려져서 1100고지 휴게소로 향했다. 기왕 가는거 해발고도 높은곳도 갈겸..

삼각대 수평 맞추고 적도의 얹고 다시 수평 잡고.. 무게추 달고 주경 가이드경 올리고 무게중심 잡고 하니 이미 20분이 후딱 지나갔다. 극축 정렬하고 3스타 얼라인을 하고나서 간단하게 트래킹 테스트겸 얼라인할때 잡았던 카펠라를 대상으로 2분 노출을 주고 찍었는데..

‘많이 흐른다’ -_-

불길한 예감이 뒷덜미를 타고 슥 흘러 내려 가는데 일단 적도의에서 지원하는 polar align을 해보기로 했다. 베가는 휴게소 건물에 가려 안보이는 상황이라 백조자리 sadr를 잡고 polar align을 시도하는데 대상이 까마득하게 멀어진다.. (나 뭘 보고 극축정렬 한거니?)

파인더를 봐가며 polar align을 이용해서 극축 정렬 수정을 두세번 하고나니 이제야 극축정렬이 좀 되었다. 도합 대략 한시간을 소비했던듯 하다 -_-.. 이미 찍으려던 대상은 서쪽 너머로 져버린 상황.. 게다가 달도 뜨기시작했다.

별수 없지.. 이러면서 겨울철 국민대상들을 새로운 카메라 경통에 물려 테스트도 해볼겸 도입하고 가이드캠으로 오토가이드 하려던 찰나.

Mac OS Sierra를 업데이트 했더니 잘 되던 XServer가 말썽이다 -_- 라즈베리파이에 물려서 lin guider 윈도를 맥으로 띄워야 하는데 XServer에 붙을수 없단 메시지가..

콘솔로 강제로 xhost를 열고 클라이언트에서 XServer를 지정해줘서 겨우 구동.

이 화면 보기까지 정말 수많은 삽질을 했다

이제 정상적으로 촬영을 하는데.. 시간도 많이 흘러서 디테일하게 촬영하진 못했다. 그냥 나왔다는데 의의를 둬야지 뭐..

M42 오리온대성운

첫 대상은 오리온벨트 아래에 있는 겨울철 대표 성운이자 무지 밝아서 대충 찍어도 평균은 나온다는 M42 오리온대성운. 지구에서 1600광년정도 떨어진 발광성운이다. 맨눈으로도 존재를 확인 할 수 있을정도로 밝고 큰 대상중 하나.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가 폭발하면 오리온자리에 성운이 하나 더 추가 되겠지.. 내 생에 볼 수 있긴 하려나 모르겠다.

Picture saved with settings applied.
NGC869, NGC884 이중성단

두번째 대상은 카시오페이아와 페르세우스자리 근처에 있는 이중성단. 사실 일반 카메라 렌즈로는 몇번 담겼던 대상인데 워낙 광각이다보니 존재만 확인 할 뿐 디테일한 사진은 없었다. 산개 성단 두개가 이웃해 있는 성단으로 각각 지구에서 7600광년, 6800광년 떨어져 있다.

성단의 나이도 역시 각각 560만년, 320만년. 맨눈으로 보기는 힘든 대상이나 7배 정도 이상의 쌍안경으로 보면 가운데 별이 조밀하게 흩뿌려 놓은듯 한 부분이 두개 보인다.

Picture saved with settings applied.
M45 플레이아데스 성단

마지막 대상은 황소자리 부근에 있는 플레이아데스 성단. 좀생이별이나 일본의 스바루 로 알려진 성단인데 맨눈으로도 ?모양의 성단이 보인다. 서양문화권에서는 맨눈으로 구분되는 별 9개에 그리스신화 7자매와 그 부모의 이름을 붙여주기도 했다.

지구에서 444광년 떨어져 있고 나이는 7500만년 ~ 1억5천만년 사이로 추정된다.

간만에 천체사진 장비들을 들고 나가니 불필요한 시행 착오들이 있었던거 같다. 사실 원래대로라면 세팅 전체를 3~40분 이내로 하고 바로 촬영 들어가서 최소한 다크프레임이라도 찍어야 하는건데 조금 아쉽긴 하지만.. 뭐 일이 아닌 취미니 이럴수도 있는듯 하다.

담번엔 작정하고 한번 한울누리공원 주차장을 다시 가봐야겠다.

2016. 페르세우스 유성우

디테일한 정보는 이전에 썼던 브런치(https://brunch.co.kr/@fomalhaut/9) 참고. 대략 130년주기의 혜성인 스위프트-터틀 혜성이 모혜성으로 이 혜성이 지나가며 남긴 잔해들이 지구 대기로 유입 되면서 많은 유성이 생기는데 이 유성들의 복사점이 페르세우스 자리라 페르세우스 유성우라 한다.

보통 8월 12~13일 즈음 극대기가 되고 그 전 후로도 많이 관측되곤 한다. 가끔 천문 동호회 카페등을 보면 단어 사용에 대해 올바르지 못한 선택을 하는 경우가 보이곤 하는데 그 중 하나가 이 ‘유성우’ 란 말이다.

유성이란 지구 대기 바깥의 먼지나 작은 부스러기 (이를 유성체라 한다) 가 지구 대기로 떨어지면서 지구의 대기와 마찰을 일으켜 열을 발산하며 빛을 내고 이 과정에서 유성체가 증발하며 기체는 이온화 되어 빛나게 되는데 이 현상을 가리켜 유성(별똥별) 이라 한다. 이때 미처 증발하지 못하고 남은 유성체가 지표면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운석’ 이라고 한다.

2015 페르세우스 유성우

유성우는 이런 유성이 다수 발생하여 비처럼 보이는 현상을 가리켜 이야기하는 말이다. 즉, 흔히 보이는 유성이 하나 나온 사진을 두고 ‘유성우가 찍혔습니다.’ 라고 하는것은 잘못 된 말이다. 이는 ‘유성이 찍혔습니다.’ 라고 하는게 옳다. 더군다나 유성우는 이번 페르세우스 유성우처럼 많은양의 유성체가 있는 유성체흐름대를 지나가면서 생기기 마련이라 이런 시즌이 아닌 이상엔 유성우를 볼 기회도 없다. (간혹 밤하늘에 너댓개 이상의 유성을 보기도 하지만 이건 유성우가 아니다)

지구가 공전하며 유성체흐름을 관통할때면 유성들이 한 점으로부터 뻗어 나오는듯 보이게 되는데 이 점을 복사점이라 한다. 이 점이 사자자리에 있으면 사자자리 유성우, 사분의자리면 사분의자리 유성우가 된다.

유성우의 세기는 ZHR이라고 하는 단위로 표기가 되는데 천구에서 관찰된 유성을 천정에서 보이는 것으로 환산하여 시간당 몇 개가 보였는지를 뜻한다. 한국 천문연구원이 발표한 바로는 올해는 ZHR 150정도로 예상한다고 한다. 극대시간 하늘 조건이 이상적이라면 이론적으론 시간당 150개 관측을 기대해도 된다는 이야기이다.

12일 저녁 23시 30분경 페르세우스자리 위치

하지만 시간당 150개를 다 볼 수 있을것이란 생각은 하지 않는게 좋다. 극대기 시간에 달이 기울고는 있지만 완전이 떨어지기 전이고 페르세우스 자리 역시 지평선위에서 갓 올라왔을때라 이상적인 조건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 왠만한 장소는 밤하늘이 밝다.. 이러면 어두운 유성은 역시 볼 수 없다. 또한 ZHR예보라는게 우리나라 기상청의 일기예보 만큼이나 빗나가기 마련인지라..

2015 페르세우스 유성우

하지만 운이 좋다면 이시간에 페르세우스 자리를 가르는 유성을 너댓개 이상은 볼 수 있을것이다. 갈 수 있는한 최대한 어두운곳을 골라 돗자리를 깔고 북동쪽 하늘을 보며 별을 세면 된다. 북동쪽 하늘 M을 90도 세운듯한 별자리인 카시오페이아 자리를 찾고 그 아랫쪽 하늘을 주시하면 된다.

눈으로 보는 재미를 조금 더 하고싶다면 쌍안경을 하나 챙겨가서 그 인근 하늘을 훑어보면 페르세우스 이중성단도 볼 수 있고 카시오페이아 인근에서 안드로메다 은하도 볼 수 있다. 시간이 좀 더 지나면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플레이아데스 성단 또한 관측이 가능하다.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면 위에 이야기한 방향으로 가능하면 35mm 포맷 1:1 기준으로 28미리 이하의 광각으로 15초~30초 정도의 짧은 노출로 여러번 찍어보면 유성도 담을 수 있고 감도가 좋은 카메라라면 위에 말한 이중성단이나 안드로메다 은하, 플레이아데스 성단도 작게나마 담을 수 있을것이다.